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블로그부자입니다.
우리 나라처럼 자산에서 주택의 비중이 많은 경우는 부동산과 관련된 세금과 관련이 있을 수밖에 없는데요.
집을 매수를 하거나, 매도를 할 때 세금이 얼마나 나올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개인마다 다양한 사유로 일시적으로 1가구 2주택이 되는 경우, 양도세를 피할 방법이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도 많죠. 다행하게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한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요건과 함께 실제 사례를 통해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어렵게만 느껴지는 세금 규정을 차근차근 이해하고,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찾아보겠습니다.
부동산을 매도할 때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원칙적으로는 1가구 1주택(보유기간 2년 이상, 양도가액 12억 원 이하)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그러나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일시적 2주택 상태에서도 비과세 적용이 가능합니다.
+ 한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요건 +
새로운 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3년(수도권은 2년) 이내 기존 주택을 매도할 것
새 주택 취득 후 실제 거주 목적이 있을 것
기존 주택이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을 충족했을 것
기존 주택의 양도 가액이 12억 원 이하일 것 (초과분은 과세)
혼인, 상속, 동거봉양 등의 이유로 추가 주택을 보유하게 된 경우도 포함 가능
위의 요건을 충족하면 기존 주택을 양도할 때 양도소득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사례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사례 1: 수도권에서 새 집을 사고 기존 집을 파는 경우
2015년: 서울 강남구에 아파트(실거주) 구매
2023년 5월: 서울 마포구에 새로운 아파트 취득 후 거주
2025년 4월: 기존 강남구 아파트 양도
비과세 적용 가능!
✔ 신규 주택 취득 후 2년 내 기존 주택을 매도
✔ 기존 주택을 2년 이상 보유
✔ 기존 주택 양도가액 12억 원 이하
강남구 아파트 매도 시 비과세 적용! (단, 12억 원 초과분은 과세)

❌ 사례 2: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2018년: 부산 해운대구 아파트(6억 원) 취득
2023년 7월: 서울 송파구 아파트(10억 원) 추가 취득 후 거주
2026년 6월: 기존 부산 아파트 매도
👉 비과세 적용 불가
❌ 신규 주택 취득 후 2년 초과(수도권 기준)하여 기존 주택 매도
❌ 3년 이내(지방 기준) 처분해야 하지만 기한 초과
💡 부산 아파트 양도 시 양도소득세 과세됨

✅ 사례 3: 상속주택이 있는 경우
2020년: 대구 수성구 아파트(8억 원) 취득하여 실거주
2022년 3월: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부산에 있는 주택(5억 원) 상속
2024년 2월: 기존 대구 아파트 양도
👉 비과세 적용 가능!
✔ 상속으로 인한 주택 취득은 비과세 예외 인정
✔ 기존 주택을 2년 이상 보유 및 거주
✔ 기존 주택이 12억 원 이하
💡 대구 아파트 매도 시 비과세 혜택 가능!

✅ 사례 4: 결혼 후 배우자의 주택이 추가된 경우
2021년: 남편이 용인에 아파트(5억 원) 보유
2023년 10월: 결혼 후 아내 명의로 서울 아파트(8억 원) 취득
2025년 9월: 기존 용인 아파트 매도
👉 비과세 적용 가능!
✔ 혼인으로 인한 2주택 예외 인정
✔ 2년 내 기존 주택 매도
💡 기존 용인 아파트 양도 시 비과세 가능!

🚨 주의할 점
매도 기한 준수
수도권: 신규 주택 취득 후 2년 내 기존 주택 매도
비수도권: 신규 주택 취득 후 3년 내 기존 주택 매도
조정대상지역 확인 필요
조정대상지역에서는 보유 기간에 따른 양도세율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양도세 비과세 한도
기존 9억 원에서 개정 후 12억 원 초과분 과세 적용

마무리
한시적 1가구 2주택 상태에서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기한을 놓치면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위의 사례들을 참고하여 자신의 상황과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양도세 비과세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적절한 시기에 주택을 매도하세요!
'돈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내 집 마련의 첫걸음 (0) | 2020.10.24 |
---|---|
[돈되는정보] 컬쳐랜드 문화상품권 네이버페이로 1% 이득 챙기기 (0) | 2020.10.21 |
[경제 정보] 여러 카드사 포인트를 한 번에 계좌로 받는다. (0) | 2020.10.13 |
[청년 정책] 청년 내일채움공제 (feat. 2021년 예산 축소) (0) | 2020.10.09 |
[청년 정책] 청년 특별구직지원금 신청 방법 (feat.2차 신청기간) (0) | 202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