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되는 정보

[청년 정책] 청년 내일채움공제 (feat. 2021년 예산 축소)

by 자본주의설명서 2020. 10. 9.

[청년 정책] 청년 내일채움공제 (2021년 예산 축소 : 올해 빨리 가입해야)

 

청년 내일채움공제

 

안녕하세요,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위해 재테크 공부하기에 좋은 날입니다.

 

요즘은 정말 제가 20대 때 있었으면 참 좋았을 청년들을 위한 정책이나 지원 등이 많은데요.

제 주위를 보면 그런걸 잘 활용하지 못하는 젊은 친구들이 많아 안타까울 때가 많습니다.

알짜 정보를 알려줘도 그냥 듣고 흘리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그나마 원룸에 50만 원, 60만 원씩 적지 않은 돈을 지출하고 있는 친구들에게 청년들을 위한 저금리로 전세자금을 빌려주는 정책이 있으니 알아보라고 하니 그 내용은 좀 흥미 있어하더군요.

구직활동지원금이나 특별구직지원금 같은 내용을 알려줘도 고용센터에 방문하기 귀찮아서..

혹은 중간에 구직활동 계획서 같은 걸 작성하기 귀찮아서..

이처럼 밥상을 차려줘도 숟가락질하는 게 귀찮아 안 먹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요즘 같은 시대에 50만 원씩 지원받기 위해 그 정도 노력도 안 하려고들 하는 거 보면.. 참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오늘은 청년들에게 정말 꿀 같은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대기업에 취업하신 분들께는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고요.

소수의 대기업 취업자들이 아닌, 대부분의 청년들이 취업하게 되는 중소기업 취업자들을 위한 내용이니 꼭 알아가셔서 재테크를 위한 종잣돈 만드시는 데 도움되길 바랍니다.

 

청년들을 위한 꿀같은 정책

그럼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취지는 청년에게는 장기근속과 목돈마련의 기회를, 기업에게는 우수인재 확보의 기회를 주자는 취지의 정책 사업입니다. 중소기업이나 중견 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들의 장기근속을 위하여 고용노동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청년-기업-정부 이렇게 3박자가 어우러져 공동으로 공제금을 적립하여 2년 또는 3년 동안 근속한 청년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만기에 공제금을 적립하여 지급해주는 내용입니다.

 

2020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는 2021년 12월 31일까지만 한시적으로 시행하는 정책 사업입니다.

더군다나 올해까지는 2년형과 3년형으로 나뉘어 3년형의 경우 본인이 3년 동안 월 166,700원씩 총 600만 원을 납입하면 기업이 600만원 정부가 1,800만 원을 적립하여 만기에 총 3,000만 원을 지급해주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내년 2021년부터는 청년내일채움공제에 정부가 투입하는 예산이 축소될 예정입니다.

3년형이 없어지고 2년형으로 통합 운영되며 수령액 역시도 올해 1,600만 원에서 1,200만 원으로 지원금이 축소 운영됩니다.

신규 가입 인원 또한 올해 13만 명에서 10만 명으로 축소 발표된 바가 있습니다.

 

이 말인즉슨, 이 정책에 대해서 먼저 알고 올해 안으로 신청한다면 3년 동안 600만 원이 3,000만 원이 되는!!

그것도 확정형 상태의 정부가 보장해주는 어디에도 없는 금융상품에 가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리실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이런 금융상품은 현재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실제로 정부에서 시행하는 다른 유사한 제도와 비교해 봤을 때 지원이 높은 수준입니다.)

예금형으로 600만 원이 3,000만 원이 되는 것도 아니고 (이것만 해도 3년 순수익률 400%)

적립형으로 월 166,700원이면 3년 뒤 3,000만 원으로 돌려주는 상품이라니!!

연 단리로만 따져도 연 수익률 100%가 넘는 상품입니다.

본인만 포기하지 않고 3년 만기까지 해지 없이 잘 버티면 단리로만 133%의 수익률 되겠네요.

 

정말 청년의 희망이 되는 정책 청년 내일채움공제

 

제가 사회초년생일 시절에 이런 상품이 있었다면 꼭!! 들었을만한 상품이네요.

3년간 3,000만 원 모으려면 1년에 1,000만 원 모아야 하고 그러려면 단리로 매월 833,334원씩 모아야 가능한 금액입니다.

제가 첫 종잣돈으로 강조하는 금액이 1,000만 원인데요.

무조건 1,000만 원 모을 때까지는 버티라고 하는데, 이 정도 수익이면 3년 동안 존버 할 만한 가치가 있는 상품입니다.

 

제가 가장 이상적인 수익률로 생각하는 게 5년 동안 100%입니다.

1,000만 원 투자 시 5년 뒤 2,000만 원이 되어 있어야 적당한 수익률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물론, 투자 수익률을 재투자하는 복리 기준이기 때문에 연 15% 정도의 수익률을 목표로 합니다.

연 15% 정도의 수익을 5년간 재투자했을 때의 수익률이 100%입니다.

(5년 동안 실패 없이 매년 15%의 수익을 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3년 동안 400%의 수익률을 정부와 기업에서 보장해 준다는 것이니 가입하지 않을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 훌륭한 정책의 지원 대상을 가입하는 청년과 기업으로 나눠 알아보겠습니다.

 

그 어떤 수익률보다 뛰어난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가입대상

 

청년 대상의 연령은 2년형과 3년형 모두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입니다.

군 복무기간은 대상 연령에 포함하지 않아 최고 만 39세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없거나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 이어야 하며, 3개월 이하의 단기 가입 이력은 총 가입기간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학력의 제한은 없습니다만, 취업일 현재 고등학교 또는 대학교에 재학/휴학 중인 사람은 제외됩니다.

(졸업예정자를 포함한, 원격대학이나 야간 대학, 대학원은 가능합니다.)

 

기업가입대상

 

인력난을 겪고 있는 지방의 중견기업이나 수도권의 중소기업에서도 공제에 가입하면 우수 인력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 그 대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년형의 경우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의 3년 평균 매출액이 3천억 원 미만인 중소, 중견 기업이라면 가능합니다.

소비향락업 등 일부 제외되는 업종이 있으니 참고하시고요.

 

3년형의 경우 2년형과 같은 조건의 5인 이상 3년 평균 매출액 3천억 원 미만의 중소, 중견 기업 중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에 따른 [뿌리기업]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과 중소 기업 양쪽에 이득이 되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지원내용

 

2년형의 경우 본인이 2년간 300만 원(월 12.5만)을 적립하면 정부에서 취업지원금 900만 원과 기업에서 400만 원(정부지원)을 공동 적립하여 2년 후 만기공제금 1,600만 원에 기간 동안 이자를 적립하여 돌려줍니다.(1,600만 원+이자)

 

3년형의 경우 본인이 3년간 600만 원(월 16.5만)을 적립하면 정부에서 취업지원금 1,800만 원과 기업에서 600만 원(정부지원)을 적립하여 3년 후 만기공제금 3,000만 원에 이자를 적립하여 돌려줍니다. (3,000만 원+이자)

 

내일채움공제는 막 취업한 신입 취직자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지만 청년 재직자를 위한 내일채움공제도 있습니다.

5년 동안 매월 12만 원씩 총 720만 원을 적립하면 기업에서 1,200만 원 정부에서 1,080만 원을 적립하여 5년 뒤 3,000만 원을 적립하여 돌려주는 재직자를 위한 내일채움공제도 있는데 효과적으로 두 상품을 연달아 가입하면 최대 8년 동안 6,000만 원이라는 목돈 마련이 가능해집니다.

 

매월 20만 원도 채 되지 않는 금액으로 8년 동안 6,000만 원이라는 목돈을 만져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재직자를 위한 내일채움공제는 다음 기회에 자세히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지원내용

 

2년형은 청년의 채용유지 지원금 400만 원+ @(50만 원)

3년형은 청년의 채용유지 지원금 600만 원 +@(70만 원)을

정부로부터 조달받기 때문에 조건에 맞는 중소, 중견 기업의 입장에서는 공제 지원을 신청 안 할 이유가 없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사회초년생, 목돈 마련의 첫걸음

신청방법과 절차

 

1. 청년은 정규직 업무를 시작한 지 6개월 이내에 재직한 기업과 함께 워크넷 홈페이지를 통해 참여 신청을 해야 합니다.

(물론, 이미 기업에서 적극 가입하여 신입에게 권장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입사한 회사가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안 되어 있는 경우에만 같이 신청하시면 됩니다.

※ 신입사원 6개월이 지나면 조건에 부합되지 않아 해당되지 않는 안타까운 상황이 올 수도 있으니

입사 후 바로 알아보는 것이 여러모로 도움이 됩니다.

 

2. 기업에서는 전체 정규직 명단을 선택한 운영기관에 보고해야 합니다.

 

3. 기업과 청년이 중소벤처기업 진흥공단에 청약 신청을 합니다.

 

4. 기업은 고용센터에 주기적으로 지원금을 신청하고, 해당 고용센터는 해당 청년에게는 적립금을, 해당 기업에게는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5. 청년, 기업, 정부가 약정된 기간 동안 꾸준하게 적립금을 불입합니다.

만기가 되면 청년은 약정된 공제금과 복리 이자를 수령합니다.

 

정보가 곧 경쟁력입니다.

 

2020년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인생에 있어서 단 한 번의 가입 기회만 있습니다.

중도 해지 후 재가입도 불가능합니다.

물론, 중도 해지에 대해 몇 가지 제외 조항이 있긴 하지만 원칙적으로는 중도 해지가 되지 않습니다.

 

 

 

자, 오늘도 청년들 특히 사회초년생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알려드렸습니다.

이 알짜배기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이 글을 읽으신 여러분의 행동력에 달려 있습니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불안정성의 투자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정부에서 보장하는 이런 정책을 잘 활용하면 안정적인 목돈 마련이 가능해집니다.

제로 금리에 가까운 현재의 금융상품들 모두를 통틀어 이런 수익을 낼 수 있는 금융상품은 없습니다.

더군다나 정부가 보장하는 금리확정형 상품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고용노동부에 들어가 보시면 도움되는 정책과 정보들이 많이 있습니다.

우선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한 안내와 신청 가능한 사이트 두 곳의 URL을 하단에 남겨놓겠습니다.

꼭 방문하셔서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후 목돈 마련하시기를 바랍니다.

 

긴 글 도움되셨기를 바라며,

청년을 위한 도움되는 정책을 소개한 도움되는 포스팅이 있으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

 

blogbooja.tistory.com/5

 

[청년 정책] 청년 구직활동지원금 안내

[청년 정책] 청년 구직활동지원금 안내 안녕하세요, 블로그하기 좋은 날이네요. 가뜩이나 취업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인 요즘, 코로나로 취업난의 정도가 더 심해졌는데요. 정부가 청년들을 위한

blogbooja.tistory.com

blogbooja.tistory.com/6

 

[청년 정책] 청년특별구직지원금 신청 방법 (feat.2차 신청기간)

[청년 정책] 청년특별구직지원금 신청 방법 (feat. 2차 신청기간) 안녕하세요, 블로그하기 좋은 날입니다. 오늘은 전의 [청년 구직활동지원금] 포스팅에 이어 [청년 특별구 직지 원금]에 대한 정보�

blogbooja.tistory.com

 

 

 

 

청년내일채움공제(고용노동부)

https://www.work.go.kr/youngtomorrow/index.do 

 

청년내일채움공제

 

www.work.go.kr

 

내일채움공제(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https://www.sbcplan.or.kr/intro.do 

 

내일채움공제

내일채움공제

www.sbcpla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