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납부내역 조회하기
안녕하세요, 오늘도 블로그 하기 좋은 날이네요^^
어느덧 공기가 쌀쌀하게 느껴지는 계절이 왔습니다.
가을비가 땅을 촉촉하게 적시고 나니 바람이 더욱 차갑게 다가오는 요즘입니다.
이제 2020년도 2달이 채 남지 않았는데, 해가 바뀌면 우리는 또 한 해만큼의 나이 숫자가 바뀌게 되네요.
그러나, 한 해의 흐름을 기다리시는 분들 또한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아마도, 국민연금 수령을 기다리고 계신 분들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국민연금 납부내역 조회와 더불어 예상 수령액에 대한 안내로 해 보려고 합니다.
자, 우선 국민연금이 언제부터 실시가 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연금은 1987년에 국민연금공단 설립을 시작으로 1988년부터 국민연금제도가 실시되었습니다.
한 기사를 우연찮게 보았는데, 20년 이상 가입해서 월 100만 원 이상 노령연금을 수급하는 분들의 숫자가 올해 처음으로 30만 명이 넘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저희 아버님도 만 60세부터 10년이 넘도록 처음 35만 원 정도에서 시작해서 지금은 약 50만 원 정도를 받고 계시는데요.
큰돈은 아니지만 용돈으로 사용하실 정도는 되는 금액입니다.
우리 부모님 세대에는 가입기간이 짧아 큰 금액을 받는 분들은 많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국민연금 내가 그동안 낸 연금은 얼마인지 알아보고 예상금액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검색창에 '국민연금 내 연금알아보기'를 검색하시면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도 내 연금 알아보기가 바로 가능한 페이지로 연결이 됩니다.
저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자주 들어가 봅니다.
연금 외에 노후준비에 대한 도움되는 정보가 많으니 한번 둘러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연결된 홈페이지에서 위의 이미지 참고하셔서 가입, 납부내역 조회를 클릭해 줍니다.
향후 연금 고갈에 대한 우려도 있고, 저출산으로 인한 국민연금 삭감에 대한 우려가 많습니다.
하지만 국민연금은 국가에서 보장하는 제도이니 크게 걱정하지는 않으셔도 될 듯합니다.
(국가부도 직전까지 갔던 그리스도 국민연금 20% 삭감 정도에서 조정이 있었을 뿐입니다.)
국민연금만 조회하실 수도 있고,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도 조회가 가능한데, 퇴직연금의 경우 연동이 안 되는 게 많아 저는 국민연금만 조회하였습니다.
정부 24와 마찬가지로 공인인증서 로그인이 필수입니다.
저는 일찍이 학교를 다니면서 아르바이트를 시작한 터라 좀 일찍부터 납부가 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저와 나이차가 꽤 나는 남편보다 1년 먼저 국민연금 납부가 이뤄지고 있었네요.
만 10년 이상 납입해야 연금수령이 가능한데, 저는 110개월로 10개월이 모자라네요.
(지금 직장에서 적어도 1년간은 버텨야 된다는....;;;;)
노령연금 조회를 다 하셨다면, 좀 더 상세한 내용의 연금 조회도 가능한데요.
그 옆의 탭의 상세 연금 조회를 눌러보면, 연금 수령시기의 예상되는 부양가족을 입력하여 좀 더 정확한 연금을 알아볼 수도 있습니다.
저는 제 부모님 중 한 분을 부양할 것으로 예상하고 2008년 이후 자녀가 3이므로 입력해서 다시 산출해 보았습니다.
부모 1, 배우자 1, 자녀 3으로 다시 계산을 해보니
처음 창출했던 연금액보다 약 8만 원 정도가 더 나오는 것 같았습니다.
군 복무기간도 가입기간에 추가가 되니 젊은 분들은 저녀출산 크레디트와 함께 군 복무 크레디트도 챙기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남편과 함께 예상 연금액을 도출해보니 그래도 부부가 200만 원은 넘길 것 같습니다.
이미지처럼 몇 개월을 납입했고, 현재 물가 수준으로 얼마의 연금액을 기대할 수 있는지 자세하게 안내가 됩니다.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연금액이 더 추가되는 것 같습니다.
국민연금공단 사이트에 들어가 보면 국민연금 납부액과 예상연금액만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이렇게 노후 3층 보장으로 견고하게 노후자금을 준비할 수 있도록 안내가 되어 있습니다.
3층으로 부족하다면 4층으로 주택연금까지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제가 다시 한번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1층 국민연금(부부) 2층 퇴직연금 3층 사업소득(노동소득이 아님) 4층 월세+배당소득
으로 계획하고 준비 중에 있습니다.
저는 경제활동을 앞으로 10년 정도만 계획하고 있는데, 50세 이후에는 남편과 같이 여행 다니면서 각자 취미생활 즐기며 사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막내가 어려 약간의 수정은 필요할 것 같지만..)
노후 자금을 준비하는 내용도 제가 천천히 포스팅으로 다뤄볼 예정이라 간단하게만 말씀드렸습니다.
국민연금을 알아보다 보면 노후에 필요한 생활비가 얼마인지 얼마를 기준으로 두고 준비를 해야 하는지를 고민하실 텐데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그런 가려운 부분까지 긁어주고 있습니다.
현재 50대의 경우 부부의 적정노후생활비는 270만 원가량입니다. 개인의 경우 170만 원 정도이고요.
도표대로라면 40대 부부의 적정 노후 생활비는 300만 원 정도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개인의 경우 185만 원 정도로 예상되고요.
물론, 현재 물가 기준이니 노후에는 물가상승률 반영한다면 예상액의 배로 필요하게 되겠습니다.
70대이신 제 아버님은 국민연금과 자녀들의 용돈을 합쳐 매월 약 180만 원 정도의 노후자금을 사용하고 계신데, 위의 표로 보면 평균보다 조금 더 여유가 있으신 편이네요.
저는 저희 부부의 노후자금을 500만 원 이상으로 세팅해 놓기 위해 열심히 재테크에 대해 고민하고 또 고민합니다.
저는 직장에 다니지 않고 사업자를 냈을 때에는 국민연금 기본액만 채워서 납부를 했었습니다.
국민연금은 납부액도 중요하지만, 납부기간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납부액과 납부기간이 많고 길수록 추후 수령하는 연금액이 많아집니다.
국민연금 공단 사이트에 들어가 보시면 도움되는 내용들이 많이 있으니 가끔 들러서 국민연금 납부액
도 확인해 보시고 예상 연금액도 확인해 보시고 노후자금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지시길 권해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좋은 정보성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및 수급금액 알아보기(Ft. 기초연금 모의계산)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및 수급금액 알아보기 (Ft. 기초연금 모의계산) 안녕하세요, 이번 가을은 유난히 짧게 왔다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벌써 영하의 기온도 종종 보이니 올해 겨울은
blogbooja.tistory.com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4분기 신청 연 100만원 지원 받으세요. (0) | 2020.11.06 |
---|---|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및 수급금액 알아보기(Ft. 기초연금 모의계산) (0) | 2020.10.26 |
입술 부르틈 그 원인과 증상 완화하는 법 (0) | 2020.10.18 |
[경기 정책] 경기도 기본주택 (Feat. 무주택자라면 누구나) (0) | 2020.10.16 |
[경기 정책] 경기 극저신용대출 3차 신청 접수 (Feat. 경기도민만해당) (0) | 2020.10.14 |